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미징가입니다. 얼마 전 자다가 놀래서 갑자기 일어난 적이 있습니다. 특히 낮에 낮잠을 자다가 그런 적이 많았어요. 몸이 놀래서 깬 기억이 나는데요. 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걸까요. 순간 제 몸에 이상이 생긴 건 아닌지 해서 알아보니 수면 놀람증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럼 지금부터 수면 놀람증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수면 놀람증은 우리 몸이 스스로 움직여 나타난 현상인데 주로 얕은 잠을 잘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은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을 하고 수면을 취하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발생을 한다면 진단과 치료를 꼭 병행을 해야 합니다.
수면을 취할 때 단계별로 5단계로 나뉘게 됩니다. 수면 놀람증은 1~2단계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낮은 수면에서 깊은 단계 수면으로 진행이 되는데 수면 놀람증은 초기에 오는 현상입니다. 얕은 수면을 취할 때 근육이 충분히 이완되지 않아서 갑자기 수축을 하면 발생이 됩니다. 그것이 꼭 발작하는 증상처럼 보이기 때문에 병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정말 문제가 발생해서 그런 걸까요? 아닙니다. 정상적인 사람도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잘 자고 계실 때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혹시나 깊은 잠에 빠져서 자고 있는 도중에 이런 증상이 나타나셨다면 신체적인 피로나 과로가 많이 쌓였다는 이야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항상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셔야 합니다. 잘못하다가는 수면 놀람증이 경과가 지나면 불면증으로 될 수 있습니다.
수면 놀람증의 원인
수면 놀람증은 깊은 잠보다는 얕은 잠에서 많이 발생을 합니다. 깊은 수면 상태에 들지 못해서 발생을 합니다. 보통 시험공부를 하면 오래 누어 잠을 자는 것보다는 쪽잠을 자게 됩니다.
1. 보통 긴장되고 여러 가지 압박을 받는 상황에 발생합니다.
2. 편한 자세가 아닌 웅크리거나 엎드린 자세에서 발생합니다. 신체의 일부가 어딘가에 기대지 못하고 떠있는 경우에 발생을 합니다. 어딘가 눌리거나 해서 근육에 충분히 혈액이 가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3. 금방 깨야하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쪽잠의 형태를 취할 때는 금방 일어나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심리적 압박감을 받을 때 많이 나타나게 됩니다.
카페인을 많이 섭취하거나 각성 작용이 강한 음료를 많이 섭취했을 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카페인 등을 많이 섭취를 하면 숙면을 취하기 어렵습니다. 얕은 수면인 1~2단계 수면에서 계속 왔다 갔다 하게 됩니다.
이런 상태가 계속 지속되면 수면의 질은 떨어지고 근육은 충분히 이완되지 못하게 갑자기 수축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격렬한 운동을 예를 들 수 있습니다. 너무 과도하게 근육을 쓰게 되면은 수면 놀람증이 발생을 할 수 있습니다. 근육이 경직되고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할 상황을 만들게 되면 순간적인 수축이 올 가능성이 많아집니다.
가벼운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 놀람증이 오래 지속이 되면 불면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깊은 수면을 취하기 힘들다는 이야기가 오래 지속되면 수면의 형태가 불량해지게 됩니다.
수면 놀람증 해결법
카페인에 대한 부분이나 각성 작용을 일으키는 음료 및 약물에 대한 확인을 해 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개인마다 카페인에 대한 감수성은 천차만별입니다. 예를 들어 오후 2시가 넘어서 커피를 마시면 잠을 못 주무신다는 분들이 있고 믹스 커피는 괜찮은데 아메리카노는 문제가 된다는 분들 원두커피만 마시면 가슴이 두근거린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카페인의 용량을 알고 정확히 드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무리하게 운동을 한다거나 야간에 운동을 하면 각성 작용이 오히려 일어나 숙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운동을 하실 때는 오전에 하시는 것이 좋으며 늦은 시간에는 가벼운 산책 정도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수면 놀람증 원인 및 치료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기독교인 예수님의 축복과 하늘의 복 받는 귀한 삶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